맞벌이 가정은 하루 평균 27분 가족과 함께...
나는 태어나기 전부터 엄마·아빠의 보살핌을 받아왔고 유치원에 다니기 시작한 뒤로는 엄마·아빠얼굴보다는 유치원선생님의 얼굴을 보는 일이 많았습니다. 초등학생이 된 이후로는 친구들과 어울려 놀기 바빴고 중학생이 되어서는 학교 공부가 끝나면 학원에 다니기 바빴습니다. 고등학생이 되어서는 먹고 자는 시간 이외에 가족과 함께 하는 시간은 없었습니다. 왜냐고요? 알면서 왜 물어보세요!
통계청에 따르면 2009년 가족생활시간 조사 결과, 우리나라 10세 이상 전 국민은 가족을 보살피는데 사용하는 시간이 하루 평균 25분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맞벌이 가정은 하루 평균 27분으로 비맞벌이 가정 1시간 11분에 비해 44분 가량 적었습니다.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를 왜 새삼스렇게 이야기 하냐고 하시는 분들도 있을지 모릅니다. 우리나라는 예의범절과 가족의 소중함 그 가치를 존중하는 문화가 중요시 되어왔습니다.
하지만 지금의 사회에서는 더 이상 그 문화를 찾아 볼 수 없습니다. 대가족의 핵가족화 핵가족의 다문화 그리고 돈으로 인한 가족 간의 불화 등으로 '가족'이라는 이름을 가슴속에서 지워버린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학교후배가 군대 가기 전에 했던 말입니다.
"형~ 저는 집에 있는 게 제일 싫어요"
"왜?! 집이 얼마나 좋은데... 너 엄마·아빠랑 얘기 안하냐?"
"엄마랑은 그냥 그렇고 아빠랑은 얘기도 하기 싫어요"
"너 군대 가면 생각 바뀔걸? 지금부터라도 부모님한테 잘해~"
"나도 형처럼 혼자 자취하고 싶은데, 혼자 살면 편하지 않아요?"
후배는 이미 아빠와의 관계를 오랫동안 불신감으로 지냈왔던 상태였는데 얼마 전 휴가 때 만나서 이야기를 해보니 이제는 아빠와 곧잘 이야기도 하고 월급을 모아 용돈까지 드린다고 합니다. 하지만 전역하면 또 어떤 모습일지 걱정이 됩니다.
적어도 한 달에 한번 친구, 애인 그밖에 지인을 뒤로하고 가족 함께하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배드민턴이나 줄넘기 같은 운동이나 맑은 공기를 마실 수 있는 등산 그리고 빼놓을 수 없는 회식까지 평범한 일들도 가족과 함께라면 즐겁습니다. 피는 물보다 진하다고 하잖아요^^
방학동안 집에 내려와 있어도 부모님을 볼 수 있는 시간은 아침식사시간과 밤 9시부터 12시정도까지입니다. 자식인 제가 유치원생이건 대학생이건 경제생활을 하고 있기 때문이죠. 이제 개강하면 한동안 다시 보기 힘들다는 것을 알기에 일부로 더 얘기도 많이 하고 집안일도 스스로 합니다. 물론 그럴 나이도 됐고요. 그나마 지금은 여친이 없는 상태라 주말에도 가족이나 조카와 함께 시간을 많이 보내고 있습니다.
늘 함께 있어 그 고마움을 모르는, 공기같이 너무 익숙하고 가까워서 소홀했던 가족! 그 사랑과 따뜻함을 지켜가기 위해 이 글을 읽는 당신은 오늘 어떤 일을 하실건가요?
'이쌤생활의 이해 > 세상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가진 폐휴대폰 10개, 정말 금이 나올까? (8) | 2010.08.19 |
---|---|
서울시 통계연보, 35년간 유치원비 60배 상승? (2) | 2010.08.19 |
담배값 인상, 후폭풍올까 걱정된다! (20) | 2010.08.18 |
앙드레김 선생님 애도, 삼각배너를 달아주세요 (22) | 2010.08.12 |
스타크래프트 2보다는 1이 더 좋은 이유 (11) | 2010.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