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아교육의 이해/유아교육

12개월 발달특성




조카 정훈이랍니다. 12개월 발달특성에 대한 일부 내용은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유아에 따라 개인차가 있으며 성인은 보호자의 역할뿐만 아니라 좋은 롤모델이 되어야합니다.

▶신체

대부분의 아기들은 이 시기부터 잡고 일어서는데 능숙하고 걸을 수 있다. 그러나 체형은 물론 모든 면에서 개인차가 심하게 나타난다. 또 발달 정도도 다양하므로, 발달이 늦다고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신생아 때는 머리뼈의 결합이 완전 하지 않아 틈이 남아 있는데 이를 숨구멍(천문)이라 한다. 정수리 앞쪽 부분 을 대천문이라 하고, 뒷부분을 소천문이라 한다. 대천문은 11개월 이후에 조금씩 닫히기 시작해 12-18개월 무렵에는 없어지게 된다. 또한 생후 12개월 경 아기의 손과 손목은 3개의 뼈로 구성되어 있으나 성인이 되면 28개로 증가된다.

 

감각

직접적인 접촉에 대한 반응뿐만 아니라 생각이 감각의 자극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즉 정각이 구체적으로 감각과 교류를 하고 직 간접영향을 준다. 어떠한 경우든 제재는 적당하지 않다. 다양한 감각놀이를 위한 교육적용이 필요한 시기이기도 하다. 특히 장난감 등에 대한 교육적 선택의 안목이 필요하다. 음식은 거의 성인식에 가깝다. 그러나 아직 마른 밥이나 딱딱한 음식을 씹거나 하는 것은 어렵다. 그리고 생선 등과 같이 가시가 있는 음식을 스스로 가려내서 먹지 못하므로 식사는 부모가 도와주되 스스로 숟가락질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언어

12개월경 영아의 모방하기는 활발히 나타나는데, 영아는 주로 자신과 애착 관계에 있는 성인의 말이나 행동을 따라한다. 주로 엄마, 아빠, 맘마, 멍멍 등 가족의 명칭이나 음식, 동물의 이름을 말한다. 모방은 미소의 발달에서 나타나는 무선택적인 단계를 거치지 않고, 처음부터 영아가 애착을 느끼는 친근한 사람에게 선택적으로 지향된다. 이와 같은 모방은 영아와 성인간의 상호적인 강화로 작용하기 때문에 애착을 촉진하기도 한다. 이 시기 에는 말의 의미를 알게 되며 '주세요.', '감사합니다.'라는 등의 말을 곧잘 따라하게 된다. 이 때 한 단어는 한 문장의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어린이가 '엄마'라는 한 단어를 말했을 때 이는 어머니를 부르는 의미일 뿐 아니라 '엄마, 이리 와.' '나는 엄마가 좋아.' '엄마, 배가 고파요.' 등의 다양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때로는 한 단어의 의미가 과잉 축소되거나 과잉 확장되기도 한다. 즉, 구두라고 할 때 자신의 구두에 한정하여 구두라는 단어를 사용하거나(과잉 축소), 네 발 달린 짐승은 고양이든 말이든 모두 개라고 부르는 것(과잉 확대)이다. 손으로 사물을 탐색하는 것에 호기심을 보이기도 하고, 사람이나 사물의 특정행동 반응을 얻고 싶을 때에는 의도적으로 건드리기도 한다. 신체적 활동이 늘어나면서 성인 입장에서 보면 위험한 것, 귀찮은 것 등의 여려가지 이유로 아이를 제재하게 되는 데 제재는 어쩔 수 없는 경우를 포함하여 가능한 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활동 뿐만 아니라 긍정적 사고자극을 위해서도 안 돼, 하지 마 등의 제재된 용어를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사회

사물이나 환경에 대한 다양한 느낌을 나타낸다. 동물에 대한 친근감이나 두려움, 특정한 사람에 대한 선호도, 방송매체의 모방 등을 통해 사회화를 겪는 데 이때 주의할 것은 텔레비전 등을 보고 따라하는 노래나 춤 등 유아의 발달단계에 부적절한 환경을 제공하지 않는 것이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 아이가 텔레비전에 나오는 가수의 춤을 따라하는 것을 보고 부모나 이웃이 격려하는 것을 종종 보게 되는 데, 이는 오히려 유아들의 사고의 틀을 왜곡시킬 염려가 있다. 빠르고 즉흥적이고 말초적인 환경이 지속되었을 때 유아들의 사고체계는 그만큼 발달이 왜곡된다.

 

정각

절제와 욕구사이에서 갈등하기도 하고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결과를 예측하여 행동하기도 한다.
이제 정각은 유아의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쳐 정각의 상태가 불안할 경우 배가 고파도 음식을 먹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보다 자신의 세계를 구축하려고 하는 주체성을 확보하게 된다. 부모의 지시에 반할 수도 있다. 즉 제2의 반항기로써 보다 적극적인 지적탐구와 결과에 대한 예측을 통해 보다 합리적인 사고구조를 형성하기 시작한다.

'유아교육의 이해 > 유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습이야기] 수학교재 하는날  (3) 2010.08.02
동화와 조절  (14) 2010.06.04
유아들이 좋아하는 국산캐릭터 10  (2) 2010.05.31
교통기관 활동주제망  (0) 2010.05.24
유아교육의 중요성  (0) 2010.05.24